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하게 해주는 OpenSSH 서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penSSH 서버는 텔넷 서버와 기능이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나 보안상 안전하지 못했던 텔넷에 비해 OpenSSH는 훨씬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OpenSSH는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 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OpenSSH 서버를 구축해보자
저는 VMware workstation 환경에서 서버를 구축할 것입니다.
들어가기 앞서 SSH 서버의 패키지 이름은 "openssh-server" 이고 서비스(데몬) 이름은 "sshd"입니다.
rpm -qa openssh-server 명령어로 현재 설치되어 있는 openssh-server를 확인해줍니다.(CentOS는 기본적으로 openssh를 제공해준다고 합니다.)
그리고 systemctl status sshd 명령어로 현재 구동 상태를 확인해줍니다.
초록색 글씨로 active로 되어있는 걸 보니 sshd를 실행하는데 문제없어 보입니다.
이렇게 한다면 서버 측에서의 준비는 끝났습니다.
client로 서버의 SSH 서버로 접속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VMware workStation으로 접속하던가, Putty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VMware workStation으로 접속하여 보겠습니다
ssh teluser@192.168.111.100 명령어로 teluser 라는 사용자로 192.168.111.100 에 접속하였습니다.
만약 방화벽 문제로 접속이 안된다면 해당 SSH의 포트번호를 열어주시면 됩니다. SSH 서버의 포트는 대게 22번입니다.
다음은 Putty로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Putty를 실행하여 다음과 같이 입력해줍니다.
입력하고 열기를 눌러줍니다.
VMware workStation과 같이 잘 접속하신 걸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어디서든 인터넷만 된다면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겠죠??
[참고도서]
해당 글은 "이것이 리눅스다 (저 : 우재남)"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기다려! 먹어! async/await 이해하기 (6) | 2021.03.28 |
---|---|
[Server]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는 왜 필요할까? (6) | 2021.03.15 |
[shell] 셸 스크립트 for문과 while문 반복문 (0) | 2021.03.09 |
[shell] 셀 스크립트 함수 사용하기 (0) | 2021.03.09 |
[shell] 셸 스크립트 if문과 case문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