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뭐라도 하자::기술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뭐라도 하자::기술 블로그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77)
    • FrameWork (32)
      • Node.js (6)
      • Spring (26)
    • Language (44)
      • Kotlin (2)
      • Java (9)
      • JavaScript (24)
      • Python (9)
    • Server (16)
      • 서버 이론 (1)
      • Linux (10)
      • Shell (3)
      • Tomcat (2)
    • Cloud (40)
      • Network (5)
      • AWS (11)
      • Kubernetes (16)
      • Docker (8)
    • Database (18)
      • Theory (3)
      • MyBatis (7)
      • Oracle (4)
      • MySql (4)
    • Elastic (8)
      • Elastic Search (8)
    • Operation System (2)
      • Theory (2)
    • Computer Architecture (2)
      • Theory (2)
    • CI and CD (8)
      • Jenkins (8)
    • Error (4)
    • 이모저모티모 (3)
      • IT에 관한 재밌는 이야기 (3)
  • 방명록

2022/04 (1)
[Kotlin] 제네릭 타입과 variance 한정자를 활용하라

재사용을 위한 과도한 유연성 다양한 타입에 동일한 로직을 적용하기 위해 코드 재사용을 과도하게 하려는 경우가 있습니다. 파라미터를 전부 Any로 받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open class Car class K3 : Car() class Avante : Car() //“차에 대한 설명서” 함수 fun getInstruction(car: Array) { println("car = ${car.size}") } 많이 극단적인 예제이기는 합니다.. open class Fruit class Apple : Fruit() fun main() { val k3 = K3("k3", "기아") val avante = Avante("아반떼", "현대") val fruits: Array = arrayOf(Apple())..

Language/Kotlin 2022. 4. 29. 15:1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K8S] EKSCTL 를 이용한 E⋯
  • [AWS] S3 퍼블릭 액세스⋯
  • [Kotlin] 데이터 집합 표⋯
  • [Spring] Security +Googl⋯
최근에 달린 댓글
  • 감사합니다 :)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톰캣 server.xml에서 포트를⋯
  • 감사합니다 :)
Total
208,195
Today
510
Yesterday
833
링크
«   2022/04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 2022/08 (1)
  • 2022/06 (6)
  • 2022/04 (1)
  • 2022/02 (1)
  • 2022/01 (2)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