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쿠버네티스 공부한 흔적을 남기기 위한 글입니다. 쿠버네티스에서 파드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면 파드를 자동 복구해서 파드가 항상 동작하도록 보장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deployment로 생성한 오브젝트와 그냥 파드 오브젝트 2개가 있고, 이를 삭제했다고 했을 시 kubectl get pods 명령어로오브젝트들을 확인해보면 deployment 오브젝트만 살아있습니다. deployment 안에 있는 replicat셋에 의해서 파드의 갯수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deployment로 생성한 파드들은 삭제되도 다시 생성이 됩니다. age를 봐도 다시 생성된걸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냥 파드는 이를 관리하는 컨트롤러가 없기 때문에 자동복구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참고 : 컨트롤러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이 글은 쿠버네티스 공부한 흔적을 남기기 위한 글입니다. 배포한 파드에 접근 하기 위해서는 $ kubectl exec -it nginx-pod -- /bin/bash 명령어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아래 2개의 명령어를 예제로 들어보겠습니다. $ kubectl exec -it nginx-pod ls -l /run $ kubectl exec -it nginx-pod -- ls -l /run 첫번째 명령어는 -l 옵션을 exec의 옵션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두번째 명령어를 사용하게 된다면 의도한대로 /run의 권한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굳이 필요하지 않아도 exec를 사용할 때 명시적으로 '--'를 사용하면 에러를 줄일 수 있습니다.

distro-stable version 설치 (apt) 간단하게 apt를 이용해 설치해보겠습니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nodejs $ sudo apt install npm 그런데 버전이 너무 낮습니다. 최신 버전을 받기 위해 PPA(Personal package archive)를 사용해보겠습니다. PPA로 설치 NodeSource에 의해 관리되는 PPA에서 좀 더 최신 버전을 받아보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일자 기준 LTS 버전은 12.18.3, Latest 버전은 14.7.0인데 Latest인 14버전으로 설치해보겠습니다. $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14.x -o nodesource_14_setup.sh 설..

이 글은 쿠버네티스 공부한 흔적을 남기기 위한 글입니다. 기본 오브젝트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기본 오브젝트 외 다양한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데 이번엔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플로이먼트 디플로이먼트는 한마디로 파드 + 레플리카셋입니다. * 참고 : 레플리카셋은 파드의 수를 보장해주는 오브젝트입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의 API 서버와 컨트롤러 매니저는 단순히 파드의 감시가 아닌 디플로이먼트처럼 다양한 오브젝트를 감시합니다.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는 기본적으로 create, apply 을 사용합니다. 디플로이먼트로 생성한 파드를 늘리고 싶으면 scale 명령어를 다시 쳐야하지만 yaml을 사용하여 디플..

이 글은 쿠버네티스 공부한 흔적을 남기기 위한 글입니다. 오브젝트란? 파드와 디플로이먼트는 스펙과 상태값을 가지는 데 이러한 파드와 디플로이먼트를 개별 속성을 포함해 부르는 단위가 오브젝트입니다. * 참고 : 파드도 오브젝트이다. 기본 오브젝트 기본 오브젝트의 종류로는 파드, 네임스페이스, 볼륨, 서비스입니다. 파드 쿠버네티스에서 실행되는 최소단위입니다. 독립적인 공간과 IP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가지지만 보통 1 파드 1 컨테이너 구조입니다. 네임스페이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사용되는 리소스들을 구분해 관리하는 그룹입니다. 볼륨 기본적으로 파드는 어디에 영속되는 개념이 아니지만 파드가 사라지더라도 보존 가능하게 해주는 오브젝트입니다. * 참고 : 파드는 언제나 죽을수 있는 오브젝트입니다...

이 글은 쿠버네티스 공부한 흔적을 남기기 위한 글입니다. 오브젝트를 생성할 때 명령어만으론 한계가 있어 yaml에 스펙을 작성 후 생성합니다. 작성한 yaml 파일 기준으로 run, create, apply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데 create, apply을 주로 사용합니다. run과 create 비교 run은 파드 1개만 생성하고 관리해줍니다. create는 그룹 내 파드 1개를 생성하고 관리해줍니다. run으로 생성한 파드는 초코파이1개이고, create로 생성한 파드는 초코파이 박스 안에 있는 초코파이1개입니다. create과 apply 비교 오브젝트가 디플로이먼트 일 경우 replicas 를 지정해주어서 파드의 갯수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create를 이용하여 디플로이먼트 생성했을 경우 y..

쿠키(Cookie) 저장하기 var setCookie = function(name, value, exp) { var date = new Date(); date.setTime(date.getTime() + exp*24*60*60*1000); document.cookie = name + '=' + value + ';expires=' + date.toUTCString() + ';path=/'; }; // setCookie(변수이름, 변수값, 기간); setCookie("expend", "true", 1); 쿠키(Cookie) 가져오기 var getCookie = function(name) { var value = document.cookie.match('(^|;) ?' + name + '=([^;]*)(;|$..

저 같은 경우 Elasitc Search를 사용할 때 직접 API 문서 보고 자바 코드로 작성합니다. API 문서가 영어이긴 하지만 상당히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아래 링크는 Elasitc Search 공식 API 및 사용법 문서입니다. Java High Level REST Client | Java REST Client [master] | Elastic The Java High Level REST Client works on top of the Java Low Level REST client. Its main goal is to expose API specific methods, that accept request objects as an argument and return response objects,..

저 같은 경우 Elasitc Search를 사용할 때 직접 API 문서 보고 자바 코드로 작성합니다. 아래 링크는 Elasitc Search 공식 API Basic Authentication 입니다. Basic authentication | Java REST Client [7.14] | Elastic Configuring basic authentication can be done by providing an HttpClientConfigCallback while building the RestClient through its builder. The interface has one method that receives an instance of org.apache.http.impl.nio.client.Ht..

서버에 ElasticSearch를 구축했으면 내부 말고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해야합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외부 접근에 대해 알아봅니다. 서버는 CentOS7이고, ElasticSearch은 7.13.4버전입니다. 당연히 ElasticSearch는 정상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ElasticSearch] 서버 내 ElasticSearch 설치하기 서버는 CentOS7 기준입니다. Elastic Search는 JVM에서 돌아가기 때문에 1.8 이상의 JDK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JDK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 가정하게 진행하겠습니다. [STEP1] Elastic Search repo 파일 생성 $.. kingofbackend.tistory.com [STEP1]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 vi /hom..

ElasticSearch는 url을 이용해서 쉽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ElasticSearch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할 때 반드시 보안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해주지 않는다면 임의의 사용자가 마음대로 CRUD 작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ElasticSearch와 Kibana에 보안을 적용하려고 합니다. *참고 : 보안 적용 법은 아래 공식 홈페이지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Set up minimal security for Elasticsearch | Elasticsearch Guide [7.12] | Elastic The ES_PATH_CONF variable is the path for the Elasticsearch configuration files. If you inst..

[STEP1] open-jdk 1.8 설치 # yum install java-1.8.0-openjdk # yum install java-1.8.0-openjdk-devel 설치가 완료되면 /usr/bin/경로에 java가 생성됩니다. * 참고 : 리눅스에서도 JDK와 JRE는 별도의 패키지입니다. java-버전-openjdk 패키지가 JRE, java-버전-openjdk-devel 패키지가 JDK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JDK가 JRE에 의존성이 있습니다. yum으로 JDK를 설치하라고 하면 JRE를 먼저 설치합니다. [STEP2] 환경변수 등록 /usr/bin/java 경로에 심볼릭링크가 걸려있기 때문에 실제 경로를 찾아서 환경변수에 등록해주어야 합니다. # readlink -f /usr/bin/java..

Kubernetes에서 서비스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port 유형을 정리 Port 유형 정리 NodePort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포트 port Cluster 내부에서 사용할 Service 객체의 포트 targetPort Service객체로 전달된 요청을 Pod(deployment)로 전달할때 사용하는 포트 전체 서비스 흐름으로 보면 NodePort --> Port --> targetPort 예시 - 아래 Service 리소스에서 정의한 port의 흐름을 그림과 같이 표현 가능함.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helloworld-service spec: ports: - nodePort: 31001 port: 8080 targetPort..

원인 java.lang.OutofMemoryError: unable to create new native thread 리눅스에서 ElasticSearch를 설치하고 실행하려는데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리눅스에서는 OS에서의 쓰레드 제한 설정이 걸려있습니다. unlimit -a 명령어로 soft의 process를 볼 수 있습니다. [root@femarketWEB default]# ulimit -a core file size (blocks, -c) 0 data seg size (kbytes, -d) unlimited scheduling priority (-e) 0 file size (blocks, -f) unlimited pending signals (-i) 15026 max locked memo..

서버는 CentOS7버전이고, 톰캣 8버전입니다. 젠킨스에 올라가 있는 프로젝트의 server.xml 중 정보는 아래 코드와 같습니다. 젠킨스에서 빌드 구성을 시작하면, 자동으로 젠킨스가 프로젝트.war 파일을 생성해줍니다. 그리고 자동배포 설정까지 진행하면 위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디렉터리에 war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unpackWARs 프로퍼티로 인해 war 파일은 압축이 해제됩니다. /var/lib/jenkins/workspace 위치에 job 이름 기준으로 디렉터리들이 생성되고, 디렉터리 안에 war파일이 만들어집니다. 이 디렉터리 안에 만들어진 war가 어떻게 에 설정한 디렉터리로 이동되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아마 Deploy war/ear to a container 라는 젠킨..

Elasticsearch 5.0 이후에서는 root에서 elasticsearch를 실행할 수 없게 했기 때문에 sudo 명령어를 사용한다고 Elasticsearch를 실행 할 수 없습니다. 계정을 새로 생성 한 후 권한을 부여하여 그 계정으로 실행하면 해결됩니다. es 계정을 추가해줍니다. $ useradd es 해당 디렉터리를 소유자를 es로 변경합니다. $ chown -R es:es /usr/share/elasticsearch 계정을 es로 바꿉니다. $ su es es 계정으로 Elastic Search를 실행합니다. $ /usr/share/elasticsearch/bin/elasticsearch *참고 : /usr/share/elasticsearch 디렉터리 말고도 추가적으로 elasticsear..

서버는 CentOS7 기준입니다. Elastic Search는 JVM에서 돌아가기 때문에 1.8 이상의 JDK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JDK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 가정하게 진행하겠습니다. [STEP1] Elastic Search repo 파일 생성 $ vi /etc/yum.repos.d/elasticsearch.repo repo 파일을 생성 후 elasticsearch.repo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적습니다. * 참고 : yum이 아닌 tar.gz 로 다운받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Install Elasticsearch from archive on Linux or MacOS | Elasticsearch Guide [7.14] | Elastic Typically, any clus..

간단히 Maven Job을 설정하는 방법과 그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러그인 플러그인은 기본 설정으로 설치되는 플러그인 외 다음 2가지를 설치하였습니다. Maven Integration plugin은 Maven Project Job을 생성 가능케 해주고, Deploy to container Plugin은 빌드 후 톰캣 서버에 자동배포하게 해줍니다. 그리고 Subversion Plug-in은 SVN을 사용하게 해줍니다. 생성한 Job 종류 Maven project로 Job을 생성하였습니다. Job 설정 General job의 기본적인 설정을 정의합니다. 크게 눈여겨볼만한 옵션은 없습니다. 하단에 보시면 JDK 라는게 있는데 안보이시는 분도 있을 겁니다. Global Tool Configuration..

vi /etc/sysconfig/jenkins 로 vi 에디터를 연 후 빨간색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해줍니다. JENKINS_JAVA_OPTIONS="-Dorg.apache.commons.jelly.tags.fmt.timeZone=Asia/Seoul"

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시 지속적으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입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 툴 이라고 표현합니다. 젠킨스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 CI/CD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CI/CD란? CI는 Continuous Integration 즉, 지속적인 통합이라는 의미입니다. 지속적인 통합이란, 어플리케이션의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 되어 공유 레포지토리에 통합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능하다면 하루에 여러번까지) 이러한 CI의 핵심 목표는 버그를 신속하게 찾아 해결하고,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업데이트의 검증 및 릴리즈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 있습니다. CD란? 해석하자면,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혹은 지속적인 배포 라는..

/var/lib/jenkins/workspace/ 로 이동 후 붙지 않게 하려는 프로젝트로 이동합니다. 톰캣이 아닌 젠킨스 내 workplace입니다. 프로젝트의 pom.xml에 아래와 같이 추가해줍니다. ..... ${project.name} .... 그 후 다시 빌드하게 되면 뒤에 1.0.0-BUILD-SNAPSHOT이 붙지 않습니다.

테스트 서버 내 젠킨스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서버는 CentOS7 기준입니다. [STEP1] 젠킨스가 설치되어있는 확인하기 $ yum list installed | grep jenkins [STEP2] 젠킨스 설치하기 [STEP2-1] url에 해당하는 파일을 /etc/yum.repos.d/jenkins.repo 경로에 다운 $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STEP2-2] key import $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key [STEP2-3] 젠킨스 설치 $ yum install jenkin..

로컬이 아닌 테스트 서버내 tomcat8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버는 CentOS 기준입니다. 아주 기초적인 리눅스 명령어는 안다고 가정하여 진행합니다. [STEP1] Apach Tomcat 사이트 접속 Apach Tomcat 에 들어갑니다. 저는 8버전을 사용할 것이기에 Tomcat8을 눌러줍니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링크 주소 복사"를 눌러줍니다. [STEP2] wget 설치하기 서버에 접속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yum install -y wget * 참고 : yum은 레드햇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 wget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가져오는 프로그램 [STEP3] 알맞은 위치에 톰캣 설치 및 압축 풀기 저는 /var/lib/tomcat-feadmin 위치에 톰캣..

이 글은 Song Seunggeun 님의 글을 보고 작성한 글이며, 허락을 받았습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자바스크립트는 2021년 현재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가장 유명한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0년 Github의 분석에 따르면 자바스크립트는 2014년 이래로 항상 영향력 있는 언어였고, 자바스크립트의 친척이라고 할 수 있는 타입스크립트 또한 그 순위가 4위에 달합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어떻게 이렇게 유명해질 수 있었을까요? 파이썬, 자바, C 등의 전통의 강자들, 그리고 Golang, Rust, Swift, Dart 등의 신흥 강자들과의 경쟁에서 자바스크립트는 어떻게 우위를 점할 수 있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의 파괴적 혁신 이론을 이용해서 자바스크립트가 성장할..

로컬 서버가 아닌 테스트 서버에서 젠킨스를 이용하여 CI/CD를 해보겠습니다. 서버는 CentOS7 기준입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KTCloud를 이용하여 서버 구축(생략) 테스트 서버 내 톰캣(port80), JDK(1.8.x) 설치 테스트 젠킨스 서버 구축 테스트 서버 내 젠킨스를 통해 빌드업과 자동배포 진행 [Jenkins] CI/CD와 우리의 친절한 비서 Jenkins 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시 지속적으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입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 툴 이라고 표현합니다. 젠킨스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 CI/CD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CI kingofbackend.tistory.com [STEP1] 테스트 서버 내 톰캣(port80)..
OS 종류 OS 는 크게 Windows, Linux, Unix, MacOS 4가지로 분류됩니다. Linux 종류 Linux 는 크게 레드햇, 데비안, 우분투 3가지로 분류되며, 계열에 따른 패키지 관리 명령어가 다릅니다 레드햇 계열은 yum 을 사용하고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페도라 CentOS 데비안, 우분투 계열은 apt-get 을 사용합니다.
wget vs curl wget 과 curl 은 둘 다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가져오는 Linux 커맨드입니다. wget 과 curl 은 거의 유사하지만 조금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공통점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커맨트 라인 툴입니다. HTTP POST request 를 지원합니다. (즉, 웹사이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HTTP 쿠키를 지원합니다. 스크립트처럼 사용자 인터렉션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오픈소스이며 무료입니다. 90년대에 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wget 은 1995년, curl 은 1996년에 시작했습니다.) metalink 를 지원합니다. 차이점 wget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글은 DevEric 님의 글을 참고하였습니다. 트랜잭션의 propagation 설정이란 Spring에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Transactional'은 해당 메서드를 하나의 트랜잭션 안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트랜잭션 내부에서 트랜잭션을 또 호출한다면 스프링에서는 어떻게 처리하고 있을까요? 새로운 트랜잭션이 생성될 수도 있고, 이미 트랜잭션이 있다면 부모 트랜잭션에 합류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진행되고 있는 트랜잭션에서 다른 트랜잭션이 호출될 때 어떻게 처리할지 정하는 것을 '트랜잭션의 전파 설정'이라고 부릅니다. 전파 설정 옵션 트랜잭션의 전파 설정은 '@Transactional'의 옵션 'propagation'을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각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

Sims님의 글을 참고하였습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다양한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file을 읽으려고 했는데 해당 file이 없는 경우, 0으로 나누는 경우 등등.. 쉽게 접할 수 있는 오류들이 많이 있죠. 이러한 오류를 처리하는 것을 '예외 처리'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예외 처리를 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합시다. 예외처리 != 버그 자, 일단 오류를 분류해 봅시다. 위에서 간단하게 2가지 오류를 말씀드렸습니다. 첫 번째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두 번째는 0으로 나누었을 때 오류입니다. 둘 다 오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특징이 조금 다릅니다. 첫 번째,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오류는 프로그래머가 예상을 하고 예외 처리를 해줘야 하는 경우입니다. 즉, ..

// 반복해서 표시할 내용 혹은 반복할 구문 이 때, 상태용 변수를 status라고 지정했다면 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status.current} 현재 for문의 해당하는 번호 ${status.index} 0부터의 순서 ${status.count} 1부터의 순서 ${status.first} 첫 번째인지 여부 ${status.last} 마지막인지 여부 ${status.begin} for문의 시작 번호 ${status.end} for문의 끝 번호 ${status.step} for문의 증가값 활용 예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