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ubernetes에서 서비스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port 유형을 정리
Port 유형 정리
NodePort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포트
port
Cluster 내부에서 사용할 Service 객체의 포트
targetPort
Service객체로 전달된 요청을 Pod(deployment)로 전달할때 사용하는 포트
전체 서비스 흐름으로 보면 NodePort --> Port --> targetPort
예시
- 아래 Service 리소스에서 정의한 port의 흐름을 그림과 같이 표현 가능함.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helloworld-service spec: ports: - nodePort: 31001 port: 8080 targetPort: 80 protocol: TCP selector: app: helloworld type: NodePort
port를 통해 연결되는 흐름 정리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Search]Elasticsearch 보안 적용 방법 (0) | 2021.08.18 |
---|---|
[Linux] CentOS 7에 OpenJDK 1.8 설치하기 (0) | 2021.08.18 |
[Linux] max user processes 늘리는 방법 (0) | 2021.08.17 |
[Tomcat] server.xml 에서 appBase, docBase 설정 방법 (0) | 2021.08.13 |
[ElasticSearch] org.elasticsearch.bootstrap.StartupException: java.lang.RuntimeException: can not run elasticsearch as root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