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제가 이해한 개념을 바탕으로 작성하였기에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부분 있다면 지적해주세요 :) 스프링에서 말하는 컨텍스트(context)는 스프링이 관리하는 빈들이 담겨 있는 컨테이너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프링을 계속 공부중이지만 엄청 헷갈렸던 부분이 WebApplicationContext와 ApplicationContext의 관계, web.xml에서의 servlet-context와 root-context의 관계 그리고 ContextLoaderListenter와 dispatcher-servlet의 관계 총 이 3개의 관계가 볼때마다 헷갈렸습니다. # root-context 와 sevlet-context 흐름 이 글은 WAC와 AC 관련 글이 아니므로 root-context와 ..

Sevlet Container, Servlet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엔 Servlet의 대표격을 맡고 있는 Dispatcher-Servlet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Dispatcher-Servlet의 정의 스프링에서 정의한 개념은 아래와 같습니다. Servlet Container에서 HTTP프로토콜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제일앞에 둬서 중앙집중식으로 처리해주는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오면 서블릿 컨테이너가 요청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때 제일 앞에서 서버로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하는 프론트 컨트롤러가 있는데 이를 Dipatcher Servlet이라고 합니다. # Dispatcher-Servlet의 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