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 서버가 아닌 테스트 서버에서 젠킨스를 이용하여 CI/CD를 해보겠습니다. 서버는 CentOS7 기준입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KTCloud를 이용하여 서버 구축(생략) 테스트 서버 내 톰캣(port80), JDK(1.8.x) 설치 테스트 젠킨스 서버 구축 테스트 서버 내 젠킨스를 통해 빌드업과 자동배포 진행 [Jenkins] CI/CD와 우리의 친절한 비서 Jenkins 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시 지속적으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입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 툴 이라고 표현합니다. 젠킨스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 CI/CD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CI kingofbackend.tistory.com [STEP1] 테스트 서버 내 톰캣(port80)..

# 서블릿??!! 서블릿은 서버 쪽에서 실행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자바 클래스입니다. 서블릿은 자바 클래스이므로 자바의 일반적인 특징은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바와 달리 서블릿은 톰캣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실행되야 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을 하면 웹 서버는 그 요청을 톰캣과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에 위임합니다. 그러면 WAS 는 각 요청에 해당하는 서블릿을 실행합니다. 그 후 서블릿은 요청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반환하여 클라언트에게 응답하게 됩니다. 서블릿의 특징 서버에서 실행된다. 정적인 웹 프로그램을 동적으로 처리할수 있게 해준다. 스레드 방식으로 실행된다. 자바 클래스이기 때문에 자바의 특징을 갖는다. 서블릿 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