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get vs curl
공통점
-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커맨트 라인 툴입니다.
- HTTP POST request 를 지원합니다. (즉, 웹사이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 HTTP 쿠키를 지원합니다.
- 스크립트처럼 사용자 인터렉션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오픈소스이며 무료입니다.
- 90년대에 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wget 은 1995년, curl 은 1996년에 시작했습니다.)
- metalink 를 지원합니다.
차이점
- wget
-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 재귀적으로 다운로드합니다.
- 즉, 페이지에 있는 모든 내용이나 FTP 디렉터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한 번에 그대로 복사해 옵니다.
- curl 에 비하여 더 오래되었습니다.
- GNU 프로젝트입니다.
- curl
- libcurl 라이브러리로 더 강력한 기능들을 추가/사용할 수 있습니다.
- stdin 또는 stdout 의 pipe 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unix 스타일의 방식도 지원합니다.
- LDAP 이나 Samba 공유도 지원합니다.
- 양방향입니다. (wget 은 일반 HTTP POST request 만 지원합니다.)
- SSL 을 지원합니다.
- gzip 압축 및 해지를 지원합니다.
- MIT 라이센스입니다.
결론
- 만약, 별다른 옵션없이 컨텐츠를 조금 더 빠르게 다운로드하려고 한다면 wget 이 적합할 것 같습니다.
- 하지만, 조금 더 복잡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려고 한다면 wget 보다는 curl 이 적합할 것 같습니다.
출처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젠킨스 + SVN+ 메이븐+스프링을 이용하여 빌드업과 자동배포 하기 (6) | 2021.08.09 |
---|---|
[Linux] yum, apt-get 차이 (0) | 2021.07.30 |
[Spring] 트랜잭션의 propagation 설정별 동작 (0) | 2021.06.23 |
[Java] try ~ catch문을 이용하여 예외처리 하기 (0) | 2021.06.22 |
[JSP] <c:forEach> varStatus 활용법 (0) | 202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