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목표 중 하나였던 'CKA Cer 취득'을 달성하면서 순조롭게 새해를 시작하네요
CKA를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취득을 했는지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설명하면서 그때 그때 Tip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목차
- CKA란?
- CKA 접수 방법
- CKA 공부 방법
- CKA 실제 시험 응시
- CKA 취득 후기
- Tips
CKA란?
요약하자면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는 Kubernetes 관리자로서 K8S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지식 및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보증하는 자격증입니다.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발급해주며 CKAD, CKA, CKS로 등급이 나뉩니다. 3개는 각각 별도의 시험이며 CKAD(쉬움), CKA(보통), CKS(어려움)으로 보시면 됩니다. 또한 한 기업에 CKA 이상을 취득한 엔지니어가 3명 이상일 경우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베네핏을 부여해준다고 합니다.
CKA 접수 방법
CKA는 리눅스 파운데이션이 주최하므로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응시를 해야합니다.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Exam | Linux Foundation
Training in skills, knowledge, and competency to perform the responsibilities of Kubernetes administrators.
training.linuxfoundation.org
'Enroll Today'를 누르시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중간중간 어려운 단계는 없으므로 자세히 설명하진 않겠습니다.
CKA는 가격이 좀 비쌉니다. 원화로 따져보면 45만원 조금 안되는 가격입니다. 다행히 이 금액을 전부 지불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
조금만 서칭해봐도 할인을 해주는 쿠폰들이 많습니다. 보통 15% 할인해주는 코드들이 많은데 가끔 50% 할인쿠폰도 얻을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21년도 12월 사이버먼데이 때 쿠폰을 받아서 50% 할인된 가격으로 시험에 응시할 수 있었습니다. 50% 할인되도 조금 비싸긴 하지만 45만원은 어우..
그리고 정말 다행인건 시험에 불합격했다해도 한번 기회를 더줍니다!! 즉, 2번의 기회를 줍니다. 단, 주의할 점은 노쇼를 할 경우 한번의 기회로 끝납니다. 그러니 시험 준비가 안되었다 하더라도 반드시 시험에는 응시합시다.
접수를 완료하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는데 저같은 경우 이미 시험을 다 진행한 상태라 위 이미지처럼 초록색 체크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처음 응시하게 되면 하나도 체크되어있지 않을텐데 'Take Exam'을 제외한 모든 목록이 다 초록색 체크가 되도록 해야합니다.
'Verify Name'은 반드시 여권에 있는 영문 이름으로 합니다.
CKA 공부 방법
저는 CKA를 취득하려고 K8S를 공부한 게 아니고, 현업에서 K8S를 사용하다 CKA를 취득한거라 CKA를 위해서 따로 자세히 공부를 하진 않았습니다. 대부분 현업에서 사용한 기술이 CKA에서 요구하는 것과 비슷해서 크게 어렵진 않았습니다. 그래도 시험을 한번도 치뤄본 적이 없어서 Udemy에서 아래와 같은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이 강의가 좋았던 점은 Mock Exam을 제공해주어서 모의고사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분들은 Mock Exam이 실제 시험과 꽤 많이 다르다고 하는데 난이도도 그렇고 문제 유형도 상당히 비슷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또한 CKA를 응시하게 되면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모의고사를 볼 수 있도록 2개의 세션?을 줍니다. 시험 전날 풀어보고 문제풀이를 했습니다. (2개이므로 하나의 세션은 불합격을 대비하여 남겨두었습니다.)
파랑색 체크한 곳 아래에 모의고사를 풀 수 있도록 링크가 주어집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이미 시험 응시를 완료하여서 사라진것 같아요.
정말 말씀드리고 싶은게 있는데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제공해주는 모의고사 난이도가 상당합니다. 심지어 시험 다 끝나면 이런 문구가 나와요. " 이 시험은 실제 시험보다 어렵습니다."라고요. 응시자들 자신감 불어준다고 대놓고 어렵게 냈다고 합니다.(자신감은 커녕 좌절감만..) 그러니 모의고사 보고 점수가 낮다고 절대 좌절하실 필요 없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실제시험이 500만배는 쉬웠습니다.
모의고사가 어려웠던 점은 요구하는 것이 너무 많아요. 가뜩이나 영어로 시험보는데 요구하는 것이 많아지다보니 시간을 계속 흐르고 멘붕이 왔었습니다.
이게 2번 문제였는데 대부분의 문제가 이 정도 양입니다. 더 길었던 지문도 많아요. 심지어 문제도 25문제입니다.(실제 시험은 15~20문제 사입니다.) 128 Tasks 중에 74 Task 밖에 해결 못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실제 시험은 이 문제의 반 정도를 요구하니 걱정 No!
아무튼 제가 드리고픈 말은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제공해주는 모의고사보다 실제시험이 훠~~얼씬 쉬우니 모의고사 점수보고 저처럼 좌절하지 마세요!!
CKA 실제 시험 응시
아무래도 CKA는 한국을 지원 안해주다보니 시험도 미국 기준으로 응시해야합니다.(시험 시간은 한국으로 가능합니다) 그 말은 즉슨 모든게 다 영어이고 감독관도 미국인인지는 모르겠으나 영어를 사용합니다. 다행히 채팅으로 대화를 하기 때문에 듣거나 말하는거에는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시험 응시를 하면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 진행하시면 됩니다. 생각보다 검사를 빡세게 해서 놀랬습니다. 엄청 디테일하게 주변환경을 보시더라고요. 노트북 들고 다니면서 제 방 구석구석까지 보여줬습니다. 심지어 키보드 아래도 보고 싶다고 키보드도 들어서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실제 시험에서는 '시험 응시 탭'과 'K8S DOC'만 허용됩니다. 즉, 2개 이상의 탭이 있으면 부정행위로 간주됩니다. 저는 '구글번역'을 사용하려고 탭을 3개 띄었는데 닫으라고 하시더라고요. 번역을 하고 싶으면 확장 프로그램으로 설치해서 하라고 했습니다.
여담으로 저는 구글 번역 프로그램이 실제 시험 문제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번역 못하고 짤짤한 메뉴바에 있는것들만 번역하더라고요. 일부러 그렇게 막은건지는 모르겠으나 아무튼 저는 결국 번역없이 해독하면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또 주의할 점이 있는데 바로 Sharing Monitor입니다. 제가 보고 있는 화면을 공유 해야 하는데 자꾸 공유가 안되더라고요. 다행히 감독관이 이래이래 하라고 하셔서 그대로 했더니 공유가 되었습니다.
맥 기준으로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에서 화면 기록에 있는 크롬을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CKA 취득 후기
생각보다 많이 쉬웠습니다. 일주일정도 준비했는데 무난히 합격했습니다. 시험 시간이 2시간 주어지는데 시간도 아주 넉넉했습니다. 30분만에 다 풀었습니다. (11점이 어디서 감점되었는진 모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꼭 여러번 검사하시길) 쿠버네티스를 접해보신 적이 있다면 아마 어렵지 않게 딸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Tips
- 문항 수 15~20개(저는 17개), 2시간이 주어진다.
- $375 전부 결제하지말고 할인 쿠폰을 찾아서 조금이라도 할인받자!!(최대 50%)
- 총 2번의 기회가 주어지니 떨어졌다고 낙담하지 말자!
- 실제 시험 응시때는 '시험 응시 탭'과 'K8S Doc' 만 열 수 있다. 즉, 2개이하의 탭만 허용된다.
- 번역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확장프로그램을 사용해야한다. 웹 서비스 방식의 번역기 사용 불가
-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말고 여권으로 신분 검사를 하는 게 깔끔하고 좋다.
-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제공해주는 모의고사는 실제 시험보다 훨씬 어렵다.
- Udemy에서 제공해주는 모의고사가 더 실제 시험에 가깝다.(개인적인 생각)
- kubeadm을 통한 설치 및 업그레이드, etcd 백업 및 복원, kubelet 트러블 슈팅은 반드시 나오니 준비를 철저히 하자
- 모든 리소스에 대해 거의 다 나오니 모든 리소스는 한번씩 다뤄보고 시험에 응시하자
첫 배지를 획득했는데 배지 모으는 재미도 솔솔할 것 같습니다. K8S를 말고도 AWS, Azure 등 다양한 뱃지들이 있으니 점차점차 모아야겠습니다. 그리고 조만간? CKS도 준비할 예정입니다.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슈뢰딩거의 노드? 노드가 있었는데 없어요 - EKS Fargate (0) | 2023.03.12 |
---|---|
[Kubernetes] PVC로 마음대로 떼었다 붙이는 AWS EBS (0) | 2023.03.06 |
[Kubernetes] Istio Ingress 에 ALB 를 붙여보자 ! (0) | 2023.02.12 |
[Kubernetes] 인증/인가와 ETCD 사이 그 녀석 - Admission Controller (0) | 2023.01.24 |
[Kubernetes] User Account 랑 Service Account 가 다른거였어? (2) |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