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 !나이롱맨😎
article thumbnail
반응형

 


# 원인

내용을 보면

 

란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내용인 즉 오라클에 접속할 때 지정해주는 SID가 있는데 

해당 SID를 가진 리스너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내용입니다.



상황에 따라서 SID자체를 변경해 주어야만 해결이 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접속이 되다가 어느날 갑자기 접속이 안된다면 리스너가 실행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대부분의 연습용 Oracle의 경우 다음과 같이 SID를 XE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해결

 

윈도우키+R 을 눌러 실행창을 열어 줍니다.

 

 

열기에 services.msc를 입력해 줍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 창이 뜹니다.

 



밑으로 내리다 보면 해당 라인의 OracleServiceXE 란 이름을 보실 수 있습니다.

 

더블클릭해 줍니다.

 

 

오라클을 설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자동 설정되는데 컴퓨터를 실행할 때마다 자동으로 오라클이 시작되어 메모리를 잡아먹기 때문에 수동으로 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과 같은 설정창이 뜨면 시작버튼을 클릭하고 확인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아까는 실행중이지 않던 OracleServiceXE 리스너가 시작된 걸 확인하실 수

 

있니다.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리스너가 시작되지 않아 접속되지 않은 문제라면

 

시작후엔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Lsnrctl services 명령어를 사용하여 인스턴스가 실행되는지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XE가 오라클 설정에서의 SID 값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난 반드시 백엔드 왕이 될거야"

반응형

article prev thumbnail
article next thumbnail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