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 !나이롱맨😎
article thumbnail
[AWS] rsync 말고 datasync ! - EFS Data 이전
AWS 2022. 11. 20. 20:57 댓글 0건

EFS (Elastic File System) 은 AWS 의 파일 시스템 서비스입니다. EBS, S3 처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 쓰임의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목적에 맞게 잘 사용하여야 합니다. EFS S3 EBS 사용 케이스 프라이빗 이미지 레지스트리 엔터프라이즈급 데이터 백업 웹 서비스 및 컨텐츠 EC2 의 부팅 볼륨 그리고 AWS DataSync 를 이용하면 저장소의 데이터들을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같은 VPC 내 저장소는 물론 다른 VPC, 교차 계정 모두 가능합니다. ✅ 다른 VPC, 교차 계정은 서로의 VPC 가 Peering 되거나 TGW 로 sharing 된 상태여야 합니다 자세한 동작 방식은 확인하려며 여기를 눌러주세요 그럼 간단하게 한번 DataSy..

article thumbnail
[AWS] EC2 인스턴스에 HTTPS 적용하기
AWS 2021. 10. 8. 18:03 댓글 10건

정적 웹을 HTTPS로 배포하기에 이어 이번에는 EC2 인스턴스로 배포한 톰캣에 HTTPS로 접근하고자 합니다. [AWS] HTTP to HTTPS로 배포하기 (S3 기준) 이전 글 'Route 53 도메인 구매 후 연결하기'에서 도메인 구매 후 S3와 연동시켰습니다. 하지만 Http로 접속되기 때문에 이를 Https로 바꿔보는 작업을 하겠습니다. Https로 바꾸기 위해서는 S3, CloudFront, kingofbackend.tistory.com 정적 웹 같은 경우에는 Application Load Balacner(ALB)가 필요없어서 그리 어렵지 않았지만, 동적 웹(EC2) 같은 경우는 ALB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AWS와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지식이 필요합니다. ALB는 간단히 말해서 L7 Lo..

article thumbnail
[AWS] HTTP to HTTPS로 배포하기 (S3 기준)
AWS 2021. 5. 21. 20:39 댓글 6건

이전 글 'Route 53 도메인 구매 후 연결하기'에서 도메인 구매 후 S3와 연동시켰습니다. 하지만 Http로 접속되기 때문에 이를 Https로 바꿔보는 작업을 하겠습니다. Https로 바꾸기 위해서는 S3, CloudFront, AWS Certificate Manager, Route53 을 이용해야 합니다. S3는 정적인 웹 호스팅이여서 EC2와 같은 동적인 웹 호스팅의 Https는 EC2의 Load Balancer를 이용해야 합니다. Route53에서 도메인 구매 후 S3로 배포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AWS Certificate Manager AWS에 접속하셔서 Certificate Manager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는데 반드시 미국동부(버지니아 북부)us-east-1로 ..

article thumbnail
[AWS] Route 53 도메인 구매 후 연결하기
AWS 2021. 5. 19. 14:19 댓글 18건

글자가 검은 색으로 보일 시 오른쪽 상단에 달 모양을 눌러주세요 :) Amazon Route 53는 높은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웹 서비스입니다. 홈페이지 가시면 더 자세히 보실 수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도메인을 구매하여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 포트폴리오를 example.com 의 도메인을 가진 웹 사이트로 만들고 싶어서 카페24, 가비아 등을 알아보다가 AWS S3, EC2, RDS 등 AWS 관련한 클라우드를 사용한 적이 있어서 이번에도 AWS Route 53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AWS는 1년 기준 한화 15,000원(com 기준, 12$) 정도입니다. 카페24가 22,000원, 가비아가 13,500원 하는 것 같습니다. 카페24에서 .com이 등록불..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