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나 한번 쯤은 슈뢰딩거의 고양이에 대해서 들었거나 관련 밈을 보셨을 겁니다. 그래도 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알려드리죠. 고양이를 보이지 않는 상자에 넣고, 그 속에 50:50 확률로 고양이를 죽이는 독극물을 넣었을 때 고양이는 죽을까요? 살까요? 일반 세계에서는 죽었다, 살았다 라고 표현하지만 양자역학 세계에서는 이를 죽음과 삶이 중첩된 상태라고 표현합니다. 즉, 살아있으면서 죽어있다 라고 합니다. 오늘 글에서 소개할 Fargate (파게이트) 또한 슈뢰딩거의 고양이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나만 그렇게 생각할수도..) Fargate 는 무엇일까? 우리는 보통 AWS 를 이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한다고 하면 EC2 를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인스턴스 내부에 컨테이너나 직접 프로세스로..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운영할 때 온프로미스보다 편한 점 중 하나가 바로 볼륨 관리 라고 생각합니다. EBS CSI Driver 를 설치 후 Storage Class, PV 그리고 PVC 를 통해 쉽게 AWS EBS 를 통해 볼륨을 언제 어디서든 가져다 쓸 수 있죠. 한편, 쿠버네티스에선 다양한 방법으로 볼륨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컨테이너간 공유를 가능케 해주는 EmptyDir, 노드의 볼륨을 통해 파드간 공유를 가능케 해주는 HostPath, NFS 서버를 사용하는 NFS 기능 등이 있습니다. 그라파나를 노드에 배포할 때, 그라파나의 설정 파일은 그라파나가 배포된 노드의 볼륨에 저장이 됩니다. 따라서 만약 그라파나 파드가 다른 노드에 배포가 될 경우 이전에 가지고 있던 그라파나 설정을 ..

Istio 는 흔히 K8S 클러스터 내에서 서비스 메시 역할을 해줍니다. 서비스 메시 뿐만 아니라 Nginx Ingress, ELB Ingress 처럼 Ingress 역할 또한 해줍니다. Istio Ingress Gateway 가 정식 명칭이나 쉽게 Istio Ingress 로 지칭하도록 하죠 🤟 EKS 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Load Balancer Service 를 생성해주면 자동으로 CLB 가 할당됩니다. 따라서 Istio Ingress 또한 CLB 로 할당이 됩니다. CLB 는 앞으로 AWS 에서 deprecated 되기 때문에 Network Load Balancer(이하 NLB) 나 Application Load Balancer(이하 ALB) 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

쿠버네티스는 다른 플랫폼처럼 인증(Authentication)/인가(Athorization) 를 제공해줍니다. 따라서 인증받지 못한 사용자라면 401 (UnAuthorized) 를 응답 받고, 인증은 되었지만 권한이 없다면 403(Forbidden) 응답을 받게 되죠. 아주 평범한 인증/인가 프로세스입니다. 그런데 인증/인가가 완료되었다고쿠버네티스 환경에 바로 적용할 순 있는 건 아닙니다. 사용자가 보낸 요청을 적용하기 직전 한 군데를 더 들립니다. 그것이 바로 Adimission Controller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dimission Controller 에 대한 개념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Adimission Controller 를 구현해볼 생각입니다. 😎 Admission Controller 가..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면서 처음 User Account 와 Service Account 를 접했을 때 단순히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게 자격 증명하는 리소스인가보다 하고 넘어갔던 적이 있습니다. 이해가 안되서 그냥 넘어갔던.. 그래서 User Account 랑 Service Account 는 비슷한거 !! 같은 거 !!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죠.. 하지만 이 둘은 분명 다릅니다. 쿠버네티스에는 쿠버네티스 내에 존재하는 자원에 대한 접근을 위한 2가지의 account 타입이 존재합니다. User Account Service Account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에는 이와 같이 나와있습니다. 사용자 어카운트는 사람을 위한 것이다. 서비스 어카운트는 파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다. 100% 맞는 말이지만..

새해 목표 중 하나였던 'CKA Cer 취득'을 달성하면서 순조롭게 새해를 시작하네요 CKA를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취득을 했는지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설명하면서 그때 그때 Tip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목차 CKA란? CKA 접수 방법 CKA 공부 방법 CKA 실제 시험 응시 CKA 취득 후기 Tips CKA란? 요약하자면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는 Kubernetes 관리자로서 K8S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지식 및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보증하는 자격증입니다.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발급해주며 CKAD, CKA, CKS로 등급이 나뉩니다. 3개는 각각 별도의 시험이며 CKAD(쉬움), CKA(보통), CKS(어려움)으로 보시면 됩니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