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이 아닌 테스트 서버내 tomcat8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버는 CentOS 기준입니다. 아주 기초적인 리눅스 명령어는 안다고 가정하여 진행합니다.
[STEP1] Apach Tomcat 사이트 접속
Apach Tomcat 에 들어갑니다. 저는 8버전을 사용할 것이기에 Tomcat8을 눌러줍니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링크 주소 복사"를 눌러줍니다.
[STEP2] wget 설치하기
서버에 접속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yum install -y wget
* 참고 : yum은 레드햇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 wget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가져오는 프로그램
[STEP3] 알맞은 위치에 톰캣 설치 및 압축 풀기
저는 /var/lib/tomcat-feadmin 위치에 톰캣을 설치할 폴더를 생성하였습니다.
생성한 폴더로 이동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wget 뒤에 있는 주소는 STEP1에서 복사한 톰캣 주소입니다.
wget https://mirror.navercorp.com/apache/tomcat/tomcat-8/v8.5.69/bin/apache-tomcat-8.5.69.tar.gz
*참고 : tar는 파일을 하나로 합쳐줌, tar.gz는 tar파일을 gzip으로 압축해줌
톰캣 파일이 설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gzip 압축을 풀어줍니다. 버전이 다를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tar xvzf apache-tomcat-8.5.69.tar.gz
톰캣 폴더가 생성되었습니다.
[STEP4] catalina.sh 설정
/var/lib/tomcat-feadmin/apache-tomcat-8.5.69/bin 로 이동한 후 catalina.sh 아래 이미지처럼 3개의 export를 지정해줍니다. 경로는 본인에게 맞게 수정하시길 바랍니다.
[STEP5] server.xml 설정
/var/lib/tomcat-feadmin/apache-tomcat-8.5.69/conf로 이동 후 본인에게 맞는 포트를 지정해줍니다. 모든 포트 번호는 중복되어선 안됩니다.
* 참고 : AJP 프로토콜은 웹서버에서 받은 요청을 WAS로 전달해주는 프로토콜
[FINAL STEP] 톰캣 실행
/var/lib/tomcat-feadmin/apache-tomcat-8.5.69/bin로 이동 후 아래 명령어를 수행해줍니다.
./startup.sh
* 참고 : ./shutdown.sh 입력하면 톰캣 서버 중지
http://ip주소:8090 으로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성공적으로 톰캣을 실행한 것입니다. 본인이 지정한 포트로 주소 이동을 하시기 바랍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war파일에 1.0.0-BUILD-SNAPSHOT 안붙게 하기 (0) | 2021.08.11 |
---|---|
[Jenkins] 서버 내 Jenkins(젠킨스) 설치하기 (0) | 2021.08.11 |
누가 자바스크립트를 파괴할 수 있을까? (0) | 2021.08.11 |
[Jenkins] 젠킨스 + SVN+ 메이븐+스프링을 이용하여 빌드업과 자동배포 하기 (6) | 2021.08.09 |
[Linux] yum, apt-get 차이 (0) | 202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