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 !나이롱맨😎
article thumbnail
반응형

테스트 서버 내 젠킨스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서버는 CentOS7 기준입니다.

 

[STEP1] 젠킨스가 설치되어있는 확인하기

 

$ yum list installed | grep jenkins


[STEP2] 젠킨스 설치하기

[STEP2-1] url에 해당하는 파일을 /etc/yum.repos.d/jenkins.repo 경로에 다운

$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STEP2-2] key import 

$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key


[STEP2-3] 젠킨스 설치

$ yum install jenkins


[STEP3] 젠킨스 설정하기

$ vi /etc/sysconfig/jenkins


기본 포트가 8080으로 되어있는 데 포트 충돌 안나게 바꿔주기

 

저는 9100 포트를 사용합니다.




[FINAL STEP] 젠킨스 서비스 시작하기


젠킨스 시작

$ service jenkins start

 

젠킨스 중지

$ service jenkins stop

 

젠킨스 재시작

$ service jenkins restart

 

이후 http://서버ip:9100 로 접속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성공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Jenkins] 젠킨스 + SVN+ 메이븐+스프링을 이용하여 빌드업과 자동배포 하기

로컬 서버가 아닌 테스트 서버에서 젠킨스를 이용하여 CI/CD를 해보겠습니다. 서버는 CentOS7 기준입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KTCloud를 이용하여 서버 구축(생략) 테스트 서버 내 톰캣(p

kingofbackend.tistory.com

 

반응형

article prev thumbnail
article next thumbnail
profile on loading

Loading...